딥러닝 deep learning 딥뉴로네트워크 deep neuronetwork를 배우다 보면 텐서 tensor라는 말이 나온다
뭔가 크로네커 프로덕트랑 관련 있을 것 같고 (영어가 아닌 외국어일 것 같다는 뜻) 그리고 아무리 공부해도 무슨 뜻인지 결국 몰라 포기하게 될 것 같은 그런 느낌을 주는 말이다
그러나... 알고보면 표리부동한 자식이다 이 텐서라는 놈이
그냥 벡터이다 ... 중3때 배우나 고1때 배우나? 그 벡터... 또는 매트릭스
그걸 그냥 멋있게 보이려고 deep learning 에서는 텐서라고 하나보다. 라고 접근하기 시작하면 쉽다
deep learning 도 알고보면 그렇게 deep 한 컨셉도 아님
그냥 원래 이미지 또는 데이터(벡터나 매트릭스로 표현됨) 에... 가중치를 주어서 어디는 과장하고 어디는 축소하고 = 뽀샵처리
뽀샵처리를 몇 번을 했는가 = 얼마나 deep 한가
그런데 진짜 뽀토샵은 눈으로 보이니까 어디를 어떻게 하면 된다가 직관적인데 반해
데이터는 눈으로 읽고 분석하기에는 너무 방대하니까 (그래서 컴퓨터를 시키려는 거니까)
어디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에... 최적 처리방법을 계산해야 하고
원래는 사람 머리로 하다가 (여러가지 이론들에 근거해서 손으로 계산)
그 최적처리방법까지 계산하는 걸 컴퓨터를 시키면 = 머신러닝
이 계산이 "진짜 최적"을 구하도록 방법이 개발 중에 있는 거고
...
numpy array를 복습하는 기분으로, 혹은 다시 중3이 된 기분으로, 텐서 tensor의 성질을 이해해 보도록 하자
https://github.com/Varal7/ml-tutorial/blob/master/Part2.ipynb
GitHub - Varal7/ml-tutorial: Introduction to ML packages for the 6.86x course
Introduction to ML packages for the 6.86x course. Contribute to Varal7/ml-tutoria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dancer랑 롸임이에요
'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습관 들이기 (0) | 2021.11.16 |
---|---|
booster shot (0) | 2021.11.14 |
교통 이론과 machine learning (0) | 2021.07.08 |
그 챈들러 말고 다른 챈들러 (0) | 2021.07.08 |
"데이터 분석하던 노인" (0) | 2021.07.07 |